Jeong jeong-ju
-
정정주는 빛과 공간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각, 미디어 설치 등의 매체를 사용한 작업으로 탐구한다. 빛은 구체적인 건축물과 함께 그 공간을 향한 시선이 되고, 추상적인 공간과 함께 조형 요소로 기능한다.
정정주는 1995년 홍익대학교에서 조소를 전공한 이후, 2002년 독일 뒤셀도르프 쿤스트 아카데미에서 후버트 키콜 교수의 마이스터슐러를 취득했다. 2015년 국민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박사 학위를 취득, 2012년부터 성신여대 미술대학 조소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초기
정정주 작가는 1970년 광주에서 태어났다. 1980년 5월 18일, 작가는 광주 민주화 운동을 몸소 경험했다. 작가의 어린 시절에 비친 광주민중항쟁은 투쟁의 기억이기에 앞서, 거리의 불타는 차와 깨진 유리 조각, 마비된 도시, 한밤 중 멀리서 들리는 총소리와 같은 감각적 경험이었다.
빛에 대한 관심은 낯선 독일 유학 시절에서부터 시작한다. 작가는 유학 시절 자신이 살던 작은 방에 한 줄기 쨍한 빛이 침입했을 때, 현기증마저 느낄 정도로 무서운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이후, 작가는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이용한 작업을 시작, 빛과 공간 사이의 유기적 관계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실험한다.
-
Exhibitions
-
As the Sharp Narrative Fades, A Revealing Map Emerges (PART 2)
명료한 서술을 지우니 또다른 지도가 드러났다. (파트2) 5 December 2024 - 25 January 2025 -
Luminous City
정정주 25 August - 21 September 2023 -
INVISIBLE LIGHT
정정주 31 October - 22 November 2019 -
Scenery that occurs
정정주 7 September - 23 November 2017
-
-
-
건축 모형과 카메라를 이용한 작품
정정주 작가는 독일 유학 시절,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이용한 다양한 실험을 했다. 〈Light shape〉(1998)처럼 실내에 들어오는 빛의 형태를 추적하거나, 〈하나의 거울을 이용한 햇빛의 형태 바꾸기〉(1998)처럼 빛을 반사시켜 다른 형태를 만들거나, 〈특정한 시간에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을 나무 구조물로 바꾸기〉(1998)처럼 조각 구조물로 만드는 작업을 했다.
이후, 정정주 작가는 〈schauhaus〉(1999)에서 자신이 거주하는 공간의 건축 모형을 만들고 카메라와 비디오를 이용, 건축 공간 안으로 향하는 시선을 가시화한다. 〈기숙사〉(2000)에서는 학생 기숙사의 모델을 만들고, 그 안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 모니터를 통해 공간 안의 영상을 관람자에게 보여준다. 영상에는 텅 빈 내부 건축 공간의 모습과 함께, 관람자가 그 밖을 서성이거나, 공간 내부를 보는 장면을 다시 관람자에게 보여준다. 빛의 의미를 시선으로 확장하면서, 정정주 작가는 단순히 빛을 시각화 하는 것이 아니라, 보는 것과 보이는 것, 주체와 대상에 대한 성찰을 끄집어낸다.
한국으로 돌아온 정정주 작가는 건축 모형의 스케일을 키워 사적인 공간의 내외부 뿐만 아니라, 도시 공간에서 벌어지는 감시, 시선, 그 사이의 구조와 역학 관계를 시각화한다. 〈덕이동 로데오 거리〉(2005), 〈젠다이 플라자〉(2005), 〈응시의 도시-나고야〉(2007) 등은 도시 공간의 한 부분을 건축 모형 스케일로, 〈빌딩〉(2006) 등은 건축 모형을 휴먼 스케일로 키운 작업이다.
구체적인 장소와 건축을 작업 대상으로 삼게 되면서 작가의 작업은 특정 건축 공간이 간직한 역사와 기억, 과거와 현재를 시선의 역학을 통해 환기시키는 것으로 확장한다. 〈전일 빌딩〉(2018), 〈(구)광주국군병원〉(2019), 〈상무관〉(2019) 등은 광주 민주화 운동과 관련한 건축물로, 이들 작업은 아픈 역사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역사와 현재에 대한 성찰로 이끈다.
-
-
Building (2006)
삼성미술관 Leeum (ArtSpectrum)빛으로 가득 찬 두개의 긴 빌딩의 모형 사이로 관객들이 거닌다. 모형 빌딩 내부에 자리한 카메라들은 텅 비고 빛으로 가득찬 모형 공간 내부와 모형 외부의 어두운 공간에서 언뜻 보이는 관객들의 모습을... -
Dormitory (2000)
정정주학생 기숙사의 모델은 5개의 독립된 거주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공간 안에는 감시카메라를 장착한 작은 모형차들이 창문을 향해 서서히 다가왔다 다시 뒤로 물러 가는 움직임을 반복하고 있다. 앞의 모니터들을 통해... -
Thermocline of Art-New Asian Waves
ZKM, Kalsruhe, Germany길이 350m 에 이르는 거대한 옛 공장 건물을 개조해 만든 ZKM 의 현관 입구를 들어서면 왼편으로 기획전이 열리는 전시장이 있고 , 오른 쪽으로는 Cafeteria 를 사이에 두고 미디어 극장 (Medientheater)... -
Living room (1999)
정정주독일에서 생활하던 집의 거실을 작은 박스형의 모델로 만들었다. 그리고 책상과 의자가 놓여있던 곳에 서서히 좌우로 회전하는 카메라를 설치해 놓았다. 카메라는 모델 공간 내부의 모습과, 한쪽 벽면의 커다란 창문을 통해 보이는... -
illusion (2010)
Kimchongyung Sculpture Museum유진상 ( 계원예술대학교 교수 ) 2021. 1 정정주는 오랫동안 현대식 건물의 구조에 대한 작업을 진행해왔다 . 르 코르뷔지에 (Le Corbusier),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Frank Lloyd Wright) 등의 현대 건축가들이 정립한... -
Exhibiting 'Pleasure factory (2003)
시립미술관2003년 시립미술관 기획 전시인 ‘유쾌한 공작소’ 전시장을 건축모델로 만들었다. 모델의 내부에는 완성되지 않은 전시물들의 모형들이 이곳저곳에 놓여있다. 그리고 그 사이사이에 설치된 여러대의 소형 비디오 카메라들이 모델전시장 내부와 그 내부를 들여다보는... -
Seodaemun Prison (2019)
정정주이 작업은 일제시대부터 1980년대까지 사용되던 형무소에서 열린 전시를 위해 제작되었다. 한 지점에서 세곳의 감호동을 감시하기 위해 설계된 형무소는 역사적 사건들의 현장이었고, 지금도 그 당시의 분위기를 담고 있다. 형무소의 모델은 정교하게... -
2003schauhaus
Gallery Sagan'보는 것’과 ‘보이는 것’ 사이의 상호작용 윤진섭(미술평론가/호남대 교수) Ⅰ. 실내에 하나의 책상이 있다. 그 위에는 박스 형태의 건물 모형이 놓여져 있고, 그 옆에는 평범한 의자 위에 TV 모니터가 얹혀져 있다.... -
ElectroSape
Shanghai Zendai MoMA, Sanghai, China -
Strange Visit
Project Space ZIP, Seoul, Korea집은 물리적으로는 사각의 구조물과 창문, 문으로 구성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공간이지만, 그 집의 내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가족의 역사, 개인의 기억들과 감정들이 담기는 그릇이기도 하다. 강남의 신사동에 위치한 양옥집을 개조해 만든... -
City of Gaze
Plus Gallery, Nagoya, Japan호테이 전시장이 위치한 나고야의 호테이는 도시화되기 이전의 일본전통가옥들로 이루어진 지역이지만 2005 년 재개발이 확정되어 옛 건물들이 헐리고 , 그 자리에 새로운 주택과 상업 건물들이 들어서고 있다 . 100 년에... -
Light on the Move: 2019
Asia Culture Center, Gwangju, Korea자동차를 타고 어두운 공간을 빠르게 가로지르다 보면 어두운 밤 풍경 속에서 점점이 있는 집이나 가로등 불빛들이 지나간다. 어두움 속 빛들을 보며 서서히 각 빛들과 나와의 거리를 연상해 보게 된다. 그리고...
-
-
영상 작품
정정주 작가의 작업은 빛, 시선과 공간을 서로 교차시키면서 발생하는 시선의 역학, 감시, 역사와 기억의 문제에 이어 심리적 공간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다.
〈로비〉(2010)는 건축모형과 퍼포먼스를 하는 사람의 영상을 결합한 작품이다. 모형 건축물 내부에 카메라 대신 자신의 상처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상처를 치유하는 행동을 하는 영상을 설치한 작품으로, 내부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로비건물과 자신의 내면속으로 숨는 행위자의 모습이 대조를 이루며 시각과 심리의 미묘한 복합체를 구성한다.
정정주 작가의 비디오 작업은 작가의 설치 작품 형식을 빌려 오기도 하는데, 180cm정도 높이의 작품 〈수색로 빌라〉(2010)는 군인 아파트를 모델로, 내외부 풍경을 반사하는 함석판을 이용해 제작되었다. 모형 건물 내부의 각 방마다 설치된 모니터에는 작가의 지인들을 인터뷰한 영상이 상영되는데, 각자 경험한 스트레스와 그에 반응하는 행동을 촬영한 영상이 그것이다. 〈27개의 방〉(2017) 작업은 서울에 위치한 다양한 빌딩들의 모습을 스테인리스 스틸 격자로 구분된 27개의 공간에 보여준다. 카메라는 빌딩들의 창, 문, 구멍을 향해 줌인과 줌아웃을 반복한다.
구체적인 공간을 대상으로 한 빛과 공간 사이의 상호작용은 추상적인 공간을 대상으로 확장한다. 실제 공간이 아닌, 추상적인 공간을 다루면서 정정주 작가는 조형 요소로서 빛과 공간을 다루기 시작한다.
〈Passage〉(2016), 〈Nighthwaks〉(2017), 〈Transfer〉(2017), 〈Light in Room〉(2018), 〈Schauhaus〉(2019) 등은 가상의, 또는 다른 회화 작품의 건축공간을 모티브로 제작한 3D애니메이션 영상으로, 공간과 그 공간에 비치며 움직이는 빛, 부유하는 시선, 빛과 그림자가 만드는 조형적 변화 등을 담는다.
-
video work
-
조각 작품
빛과 공간의 추상 조형 실험은 〈파사드2017〉(2017), 〈파사드2019〉(2019) 등 〈파사드〉시리즈 작품으로 이어진다. 〈파사드〉시리즈는 다양한 구조와 색면들을 지닌 입방체들이 나란히 연결되어 있는 조각 작품으로, 공간, 빛의 상호작용을 면과 면 사이의 조형적 관계로 추상화한 작업이다.
빛과 공간 사이의 상호작용에 몰두한 정정주 작가는 〈Curved Lights〉시리즈(2021~), 〈형이상학적 별〉시리즈(2021~) 등에서 빛 그 자체를 형상화하고자 한다. 작가의 초기, 독일 유학시절 경험에서부터 비롯한, 빛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 작가의 작업은 다시 빛, 그 자체로 돌아가는듯 보인다. 정정주 작가에게 빛은 ‘추상적인 이데아(idea)’이면서 동시에 ‘타자’이다. 그것은 초월적이고, 영원불멸하며, 작가 주변의 타인, 사회 체제, 내면을 스치고 지나가는 낯선 존재이다.
-
sculpture
-
수상 및 선정
정정주 작가는 쌈지 스튜디오(2003), 국립 고양 스튜디오(2006), 금천예술공장(2009) 등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융어 베스텐 2001(쿤스트 할레, 레클링하우젠, 독일), 베르기쉐 미술전(바덴 미술관, 졸링겐, 독일), 2010 오늘의 작가(2010, 김종영 미술관, 서울) 등을 수상했고, 2021년 CJ문화재단 지원작가에 선정되었다.
전시
정정주 작가는 2000년 이래로 여러 차례의 개인전을 개최하고, 단체전에 참가했다.
주요 개인전으로 《Illuminate》(2021, 갤러리 조선, 서울), 《Illumination》(2020, Kunstverein Haus der Kunst Enniger, 뮌스터, 독일), 《Invisible Light》(2019, 갤러리 조선, 서울), 《Illusion》(2010, 김종영 미술관, 서울), 《City of Gaze》(2007, 플러스 갤러리, 나고야, 일본), 《InsideOut》(2007, 대안공간 풀, 서울), 《inner brain》(2003, 갤러리 브레인 팩토리, 서울), 《Schauhaus》(2003, 갤러리 사간, 서울) 등이 있다.
주요 단체전으로 《The Second Spring》(2022,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태양에서 떠나올 때》(2021, 전남도립미술관, 전남), 《2020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2020, 아시아문화전당, 광주), 《Time Reality》(2019, 코리아나 미술관, 서울), 《Post88》(2018, 소마미술관, 서울), 《젊은 시각 새로운 시선》(2017, 부산시립미술관), 《공간의 발견》(2016, 경기도미술관, 안산), 《미래는 지금이다》(2013,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Thermorcline of Art-New Asian Waves》(2007, ZKM, 칼스루에, 독일), 《City net Asia 2007》(2007, 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아트스펙트럼 2006》(2006,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 《Electro Scape》(2005, 젠다이 현대 미술관, 상하이, 중국) 등이 있다.